![]() |
저료 사진 [출처: 신화사] |
소비시장의 주역인 젊은이들의 소비관, 선호도, 행동 패턴에는 어떤 새로운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자.
“세상을 보고 싶지만 그저 보는 것만 하고 싶지는 않다.” 다른 연령대의 소비자에 비해 젊은 소비자층은 삶의 질, 문화적 정체성, 환경, 분위기에 더 민감하며, 체험형 소비를 선호한다.
‘2024 중국 청년 소비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응답자의 70% 이상이 매년 최소 한 번 여행을 한다고 답했다. 그중 46.36%는 매년 여러 번 여행을 계획하고, 26.28%는 매년 정기적으로 한두 번 여행을 계획하며, 17.22%는 가끔 여행을 간다고 밝혔다. 젊은이들이 좋아하는 여행 방식은 자연과 야외 탐험, 역사 유적지 탐방, 휴양지에서 편하게 쉬는 것 등이다.
여행지의 숙박, 음식, 교통은 더 이상 단순한 부대 서비스가 아닌 젊은이들을 끌어들이는 관광 체험 프로그램으로 등극했다.
“마음에 들면 기꺼이 산다.” 2024년 쇼핑 축제 ‘솽스이(11월 11일)’ 판매 데이터에 따르면, 젊은이들이 구매한 상품 종류는 대부분 여행용품, 콘서트 티켓 등이며 싼 것을 사는 것에서 좋아하는 것을 사는 것으로 바뀌었다. 젊은 소비자층에서 자신의 기쁨을 위한 소비가 화제가 됐다.
중국공연산업협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전국 영업성 공연(유흥업소 공연 제외)은 48만 8400회였으며, 관객은 1억 7600만 명(연인원 기준), 흥행 수입은 579억 5400만 위안(약 11조 5096억 6440만 원)에 달했다. 젊은이들은 뮤직 페스티벌 등 공연 행사의 주력 소비층이다.
자신의 기쁨을 위한 소비는 소비에서 제품과 서비스가 자신에게 주는 만족감을 더욱 중시한다. 자신을 기쁘게 해 줄 수 있는 것을 위해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정서적 가치와 정신적 위안을 얻는다.
한 소셜 플랫폼의 조사에 따르면, 소비 심리에 관한 선택에 있어 젊은이들은 ‘즐거운 소비, 정서적 가치나 흥미를 위한 소비’를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비중은 40.1% 차지했다. 이는 ‘소비관 업그레이드, 소비 품질을 더 중시’하는 비율보다 더 높은 수치다.
“비싼 걸 살 수는 있지만 비싸게 살 수는 없다.” 젊은이들은 온라인에서 가격 비교에 열중하고 중고 제품 또는 ‘저렴템’을 사는 걸 좋아한다. 이들은 비싼 걸 살 수는 있지만 비싸게 사지는 않으며, 결코 무턱대고 싼 것만 찾는 것이 아니다. 또한 가격이 적당한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추구할 뿐만 아니라 품질을 우선시하는 ‘가품비(가격 대비 품질)’를 더욱 중시한다.
중국인민대학교 신문대 연구팀이 발표한 <‘APP 세대’ 중국 젊은이들의 모바일 앱 행위 보고서>에서 젊은이들은 상아탑에서 사회로 진출하는 역할이 변화되면서 보다 실용적이고 이성적인 소비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문 출처: 인민망 한국어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