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대일로’ 뉴스 네트워크

BRNN>>한국어판>>뉴스

중국경제 발전 잠재력 키운 ‘디지털 기술’

08:44, February 27, 2025
중국경제 발전 잠재력 키운 ‘디지털 기술’
구이저우(貴州)성 룽장(榕江)현 구저우(古州)진 토우탕(頭塘)촌 네이블 오렌지 재배지에서 스트리머들이 온라인 생방송을 통해 오렌지를 판매한다. [사진 제공: 인민포토]

온라인으로 미리 주문하면 고향집으로 바로 택배가 운송되며, 예전처럼 귀향길에 이것저것 싸 들고 갈 필요가 없어졌다. 새 옷을 구매하는 방법도 다양해지며 상점에 가서 입어보는 것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피팅’을 통해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차로 외출할 때 주차를 염려하는데 네비게이션 앱으로 목적지 근처 주차 정보를 미리 얻을 수 있다. 현재 중국에서 디지털 소비는 트랜드가 되었고, 다양한 선택과 새로운 체험은 사람들의 생활을 다양하면서도 편리하게 만들고 있다.

현재 디지털 기술은 생산 및 생활의 깊숙한 곳까지 들어와 생활의 범위를 확장하고, 중국 경제 사회 발전에 강력한 동력으로 작용한다. 디지털 소비의 새로운 추세는 기업의 디지털화 개조와 전환에서 비롯되었다. 디지털 기술이 고품질 공급을 생성하고, 새로운 수요를 이끌어 기업 발전에 새로운 공간을 열었을 뿐 아니라 소비자들에게도 새로운 선택을 할 수 있게 해 국내 경제 선순환의 동력과 잠재력을 지속적으로 활성화시켰다.

장쑤(江蘇)성 난퉁(南通)시 진챠오(金橋) 커뮤니티 체육공원에서 주민들이 스마트 체육 시설로 운동 중이다. [사진 제공: 인민포토]

장쑤(江蘇)성 난퉁(南通)시 진차오(金橋) 커뮤니티 체육공원에서 주민들이 스마트 체육 시설로 운동 중이다. [사진 제공: 인민포토]

탁월한 잠재력은 혁신적인 제품 서비스에서 나온다. 디지털 기술로 눈사람을 만들고, AR 냉장고 마그넷으로 아름다운 얼음조각상을 손 위에 올릴 수 있으며 하얼빈(哈爾濱) 빙설대세계 놀이법은 날로 새로워지고 그 인기도 식을 줄 모른다. 얼굴 인식 잠금장치, ‘지시하는 곳이면 어디든 가서’ 청소하는 로봇 청소기, 실내 환경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는 에어컨 등 스마트 가구가 탁월한 편리함으로 갈수록 인기를 얻고 있다. 원격 조정, 자동 주차, 음성 어시스턴트 등 기능이 운전 경험을 개선해 신차 구입 시 중요한 참고 요소가 되었다.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제품은 매력이 높아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효과적으로 자극하고 있다.

강한 잠재력은 최적화를 이루는 소비환경에서 나온다. 디지털 기술은 광범위하게 소비의 여러 단계에서 응용되고, 온라인과 오프라인, 업태와 소비 장면의 융합적 발전을 촉진함으로써 소비자들에게 편리한 구매뿐만 아니라 쾌적하고 안전한 구매까지 제공한다. QR코드 스캔으로 현금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어졌고, 요즘 중국을 방문한 외국 관광객들도 안면 인식 결제, 손바닥 스캔 결제를 통해 더욱 편리함을 느낀다. 농산품의 재배 과정, 수확 시간 및 장소, 수산물의 어선 정보, 포획 시간과 장소 모두가 추적 바코드 스캔으로 알 수 있어 소비가 더욱 안전해졌다. 디지털 기술이 소비 장면의 혁신, 소비 환경의 개선을 가져와 소비를 막고 있던 문제점들이 해결되어 소비 진작, 내수 확대에 탄탄한 뒷받침이 되었다.

거대한 잠재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소비층에서 나온다. 젊은 세대가 디지털 소비의 주력이 되는 동시에 기타 소비층 또한 소비 의지와 능력을 갖추고 있어 거대한 소비 잠재력이 된다. 예를 들면 농촌 주민들은 예전에 상업 인프라 제약으로 장터에 가서 물건을 사는 것이 주요 소비 방식이었지만 지금은 마을마다 인터넷이 깔리고 택배가 도입되어 농촌 주민들도 스마트폰 하나면 언제든 전국에서 물건을 구매하고 또 전국으로 물건을 판매하기도 한다. 또 온라인 생방송을 보고, 쇼트클립을 찍고, 온라인 강의를 듣는 것 들을 통해 노년층이 인터넷을 자유롭게 누비며 ‘실버 경제’가 더 넓은 전망을 가지게 되었다.

장쑤성 난징(南京)시 뉴서우(牛首)산 관광지에서 펼쳐진 드론 공연 [2024년 12월 31일 촬영/사진 제공: 인민포토]

장쑤성 난징(南京)시 뉴서우(牛首)산 관광지에서 펼쳐진 드론 공연 [2024년 12월 31일 촬영/사진 제공: 인민포토]

당연한 듯 느껴지는 편리함은 연구개발 측면의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응용 측면의 혁신에 따른 것이다. ‘클라우드 피팅’은 AR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편리한 주차는 주차장 데이터 네트워킹으로 가능한 것이며, 드론의 체계적인 조정은 컴퓨팅 능력이 뒷받침된 것이다. 기술의 반복적 혁신과 보급 응용을 강화해야만 과학기술이 제일 생산력으로서의 역할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의 매력은 장벽과 한계를 부수는 능력에 있다. 과거 연령, 지역, 도시와 농촌 등 요소로 인해 생긴 격차가 현재는 점차 사라지고, 모든 소비층에서 거의 디지털 기술의 모든 혜택을 누릴 기회와 경로를 획득했다. 최근 중국은 ‘국가 디지털 인프라 건설 지침’을 발표하고, 차세대 데이터 중심의 디지털 인프라 포석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디지털 수집, 유통, 이용, 안전서비스를 제공하는 신형 인프라를 한층 개선함으로써 디지털 소비는 거대한 흐름이 되어 더 많은 이들이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 출처: 인민망 한국어판